본문 바로가기
기록/돈덕질

[팟캐스트] 유수진의 해요마요 0~10화(-ing)

by 엔프제 2022. 1. 30.

 

부담되지 않게 가볍게 들을 수 있는 라디오형 컨텐츠

그럼에도 좋은 정보가 너무 많아서 가볍게 정리를 하고 있다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회차별 세줄요약 but 세줄 아닐 수 있음 주의,,

 

*해당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무료로 들을 수 있다.

https://podbbang.page.link/WfZ5SYN2CWDyfSCw6

 

유수진의 해요마요

요요 걱정 없는 재테크 만들기부터 재테크를 취미로 삼는 방법까지부자 언니 유수진과 이종범 작가의 재테크 체질 개선 프로젝트

www.podbbang.com

 

0화 -파일럿 방송

 ▶ 경제공부 어떻게

  ▷ GDP 공부

   - GDP를 공부함으로써 경기를 판단할 수 있음->경기 판단 공부

   - GDP의 4가지 요소 공부

   - 증권사 설명회 good->경기전망 등 양질의 설명 들을 수 있음, 연말에 들으러 다니기

   - 유수진님 책 보기^-^ 부자언니 부자되기

 

  ▷ 부동산 공부

   - 원론적인 부분을 공부할 수 있는 책

   - 추천도서 : 부자근육을 키워라(백승혜대표)

   - 백승혜대표님 강의 추천

 

  ▷ 달러, 금 공부

   - 화폐의 역사 공부

 

▶ tip

GDP를 보고 경기를 판단해서 투자 타이밍을 잡는다.

경기가 좋을 때와 나쁠 때 투자 대상을 바꿔야 하므로(안전자산이냐 아니냐-주식 부동산 실물/채권 금 달러) 각 투자 대상들의 개념과 투자 방식에 대해 공부하기.

주식 얼마에 사? 얼마에 팔아? 달러를 얼마에 사고 팔아? ->투자할 대상의 가격을 매일 봐야 함. 마치 미세먼지 확인하는 것 처럼

->인베스팅닷컴이라고 한번에 모든 대상의 가격을 보여주는 어플이 있음

매일 환율 체크, 기름값(국제유가) 체크, 금값, 세계주요국 증시 등 매일 볼 것!

 

자산관리사를 만나더라도, 물어볼 때

- 뭐 사야돼요? ->상품을 추천해줄 수밖에 없음

- 지금 경기가 어떻고, 투자를 해도 되는지 아닌지, 그럼 부동산에 해도 되나요, 주식, 실물에 해도 될까요, 얼마에 사서 얼마에 팔아야 하나요, 가격이 어느정도 떨어지면 어느정도 더 사고 얼마까지 빠질 때 털고 나와야 하나요? ->인사이트를 기를 수 있는 질문을 할 것

 

▶ 정리

위젯이나 어플같이 간단한 걸로 매일아침 GDP 체크, 경기를 파악해서 투자 타이밍을 정하고, 투자 대상을 정하고, 각 대상에 대한 공부를 한다

 

 

1화 - 대출 상환? 목돈 만들기? 무엇을 먼저 해야 할까

 ▶ 대출 종류에 따라 구분하면

  ▷ 학자금대출 : 대출 이자 이상으로 수익 낼 자신 있으면 갚지 말고, 불가능하면 지금 갚아버려라
  ▷ 전세대출상환 : (못갚으면 전세금 뺏김) 주택담보대출같은 경우, 전세를 빼면 대출이 없어짐, 주택담보대출도 집 팔면 대출 없어짐 따라서 너무 스트레스받을 필요 x, 마찬가지로 이자 이율보다 이상으로 수익 낼 수 있다면 당장 갚을 필요 없음
  ▷ 신용대출 : 신용대출이 다른 대출과 다른 것은 이자가 높다는 것이다. (좋은 직장에 신용도도 아주 높은 경우 저리에 활용 가능하나 아주 드문 케이스) 따라서 그 이상 수익 내기가 매우 어려움. 무조건 갚아야 함, 집 살 때 신용도가 대출한도에 큰 영향을 주므로 신용관리에 신경을 써야 함. 2,3금융권에서 돈을 빌린다는 사실만으로도 신용도가 매우 떨어짐(P2P로 빌린것도 마찬가지). 가급적 신용대출까지는 가지 말 것.. 주택 담보대출을 최대한 받았는데도 돈이 부족할 경우 신용대출로 갖다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신용대출부터 당연히 먼저 갚을 것.

  ▷가족의 대출 : 내가 갚아주면 나도 돈 못 모으고 부모님의 상황도 해결할 수 없다. 양쪽 다 힘들어짐, 독한 마음 먹고 부모님 데리고 금융복지지원센터 데려갈 것, 나도 내 돈을 모으고 그 돈으로 수익을 낼 생각을 해야 함, 그 돈으로 가족을 도와주는 것. 독한 마음 먹고 모아서 나 대신 딸노릇 아들노릇할 종잣돈을 만들어야 함

 

 ▶ tip

  ▷ P2P(peer to peer) : 은행 없이 직접 거래, 소액의 수수료를 받고 중간에 대출을 중개해주는 업자가 있는 것(투자 종류)
  ▷ 부동산대출을 받아 수익성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은, 월세가 대출이자보다 꾸준히 따박따박 나올 수 있다면, 그리고 내가 파는 시점에 가격이 올라있을 수 있는 물건을 고를 수 있는 눈이 있다면 괜찮음.
  ▷ 대출받은게 여러개라면, 쭉 적어놓은 다음 대출이자가 몇퍼센트이고 만기상환일이 언제인지 정리, 중도상환수수료가 있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 대출이 많은 경우 전략적으로 갚아나가야 한다.
  ▷ 서울시 금융복지지원센터=>대출상황파악, 재무상담, 대출상환플랜을 짜는 것을 도와줌(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or 서울시금융복지지원센터)에 들어가면 전국센터 찾기가 가능, 내가 사는 곳 근처에 센터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개인회생, 파산절차, 재무상담까지 도와줌.

 

 ▶ 정리

어떤 대출이든 이자보다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면 나중에 상환하고, 자신이 없다면 대출부터 상환하는 것의 원리는 같다.

 

 

2화 - 애물단지 '변액상품' 해약 해요마요

 ▶ 보험을 잘못 들었어요

  ▷ 상품명에 '유니버셜'이 있을 경우, 일정기간(의무납입기간) 이상 납입하면 그 후부터는 납입이 자유로워짐. 예를들어 2년이 지나면 만원씩 내도되고, 아니면 더 많이 내도 되고, 중도인출도 가능(종신보험도 가능)하다. 사망보험금 보장금액이 살짝 줄어들 뿐

  ▷ 감액완납-납입한지 꽤 오래됐을 경우, 보장금액을 확 감액하는 대신 완납처리 가능(가능한 상품이 있고 아닌 상품이 있다)

 

 ▶ tip
  ▷ 보험은 크게 보장성보험/저축성보험(비과세혜택을 주면서 장기저축)으로 나뉜다.

 

 ▶ 변액상품
  ▷ 보험회사가 만든 장기펀드(펀드의 한문표현이 변액!)로, 내가 맡겨놓은 돈의 액수가 변한다. 변액종신보험, 변액연금보험 등 => 물가상승률을 뛰어넘는(물가를 헷징하다) 수익을 내고자 하는 상품
  ▷ 변액상품(혹은 저축보험들도 가능한 상품이 있음)들은 보통 월에 내는 돈의 약 두배를 추가납입 가능하다. 이때 추가납입하는 돈은 사업비(수수료)를 안 뗀다(월에 내는 돈은 수수료를 뗌) 따라서 100만원 납입 가능하다면 33만원만 월납을 하고 나머지 66만원을 추가납입하면 돈은 똑같이 100만원 들어가지만 사업비는 1/3로 줄일 수 있다. 변액가입하면 반드시 추가납입 해야함, 그래야 수익 관리가 됨-회사마다 추가납입수수료가 다르므로 있는지 없는지 살펴볼 것!=>이때 중도에 월납금액을 감액하고 나머지 반을 추가납입하고자 한다면, 부분해약을 하는 것. 해지공제패널티가 거의 없다면 큰 손해는 아니다.

 

 ▶ 용어 설명, tip

  ▷ 적립률 : 내 원금 대비 펀드에 실제로 적립되어있는 돈
  ▷ 해약환급률 : (적립률과 다름)해약할 때 돌려받는 돈
  ▷ 해지공제패널티 - 초반에 해약하면 적립률과 해약환급률이 크게 차이남, 해지공제패널티가 높다. 대신 이건 시간이 지나면 점점 줄어드는데 통상 7년이 되면 해지공제패널티는 거의 없어짐. 해지공제패널티가 높다=해약환급률이 낮다
  ▷ 근데 애초에 수익이 잘 나는 상품인지부터 따져봐야함 : 변액(상품)공시실->그 회사의 모든 변액상품들의 펀드수익률들이 쭉 나옴

 

 

3화 - 결혼하면 아기를 꼭 낳아야 할까요

 ▶ 내가 육아휴직을 했을 때 남편 혼자 외벌이를 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모아놓은 목돈과 남편이 맞벌이하는 구조를 만들어라.

 ▶ 출산은 영원히 선택으로 남지 않는다. 여자가 만 37세가 넘어가면 불량 난자가 생길 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낳고 싶어도 못 낳게 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 여건을 이유로 선택을 너무 뒤로 미루는 것은 좋지 않다(머리로는 알고 있는 내용이었는데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게 될 수 있다'는 얘기를 듣고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 그러니까 젊을때 난자를 미리 얼려라(!!)

 

 

4화 - 원금보장 안되는 CMA, 뭔지 모르는 ELD

 ▶

 

 

5-1화 - 이런 남자와 결혼 해요마요

 ▶

 

 

5-2화 - 서른 중반에야 시작하는 재테크, 무엇부터 해야할까요

 ▶

 

 

6-1화 - [주식해요마요] 파일럿 1부

 ▶

 

 

6-2화 - [주식해요마요] 파일럿 2부

 ▶

 

 

7화 - 묵히고 있는 손실난 펀드 정리 해요마요

 ▶

 

 

8화 - 부모님 집에서 독립 해요마요

 ▶

 

 

9-1화 - 재테크의 시작은 집정리부터

 ▶

 

 

9-2화 - 재테크의 시작은 내방 정리부터

 ▶

 

 

10화 - 비과세, 복리, 최저이율보증 종신보험 해요마요

 ▶

'기록 > 돈덕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큐] KBS 돈의 힘 6부  (3) 2022.01.31
[다큐] KBS 돈의 힘 5부  (0) 2022.01.31
[다큐] KBS 돈의 힘 4부  (0) 2022.01.28
[다큐] KBS 돈의 힘 3부  (0) 2022.01.27
[다큐] KBS 돈의 힘 2부  (0) 2022.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