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돈덕질12 [다큐] KBS 돈의 힘 1부 사실상 지폐는 아무런 가치가 없으며, 그저 지불하겠다는 약속에 불과하다. 돈은 곧 믿음이다. 화폐를 발행한 중앙은행에 대한 믿음. 돈은 금속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믿음이며, 돌려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인 셈이다. 로마숫자보다 아라비아 숫자가 상업화에 있어 더 우월하다 : 아라비아 숫자의 경우 각종 계산을 쉽게 할 수 있음. 피보나치-로마숫자가 아닌 아라비아 숫자로 백분율을 계산하는 법을 만들었고,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은 이를 실현하여 금융 제도를 발전시키기에 적합했다. 특히 베네치아는 대부업의 실험장이 되었다. 피보나치가 이자를 계산하고, 유대인(대부업자)들은 이자를 벌어들였다. 베네치아에서는 대부업체 없이 해외무역이 불가능했기에 고리대금에 대한 중세 교회의 엄격한 제한은 유럽의 금융 발달을 가로막았다.. 2022. 1. 26. [다큐] EBS 자본주의 1~5부 찍어내지 않은 돈도 시중에 돌아다닌다. 부분 지급 준비율 ; 은행이 예금 고객에게 줄 돈으로 쌓아둬야 하는 비율 금 세공업자의 잔머리->사람들은 한꺼번에 모든 금화를 찾으러 오지도 않고, 동시에 몰려오지도 않는다. 사람들이 통상 10%의 금을 찾으러 오기 때문에 금고의 금보다 10배 많은 보관증을 발행하면 되겠군! ->현재 10%지급준비율의 토대. 뱅크런 :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동시에 돈을 찾는 현상->금융 위기때 일어나는 현상, 주기적으로 종종 일어남 지급준비율 남기고 계속 돈이 불어나는 현상 : 신용창조-은행이 대출해 줄 때 새 돈이 생긴다-더 많은 대출을 해줄수록 통화 시스템에 더 많은 돈이 생긴다-대출 권유 문자가 겁나 많이 오는 이유 우리나라 평균 지급준비율은 3.5% 내외 통화량 그래프.. 2022. 1. 26. 돈덕질 덕질중에 최고 덕질은 돈덕질이라고 했다.. 다른 덕질은 돈이 드는데 돈덕질은 통장에 돈이 쌓인다구 경제공부를 해야지 해야지 하고 안하던 와중에 수호랑 세연이랑 같이 차근차근 공부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돈에 대해 정말 무지했는데(어느정도냐면 저축만 해서 돈 모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이제라도 시작하게 돼서 다행이다. 경제 관련 다큐, 책, 기사를 보고 개인적으로 공부한 부분, 정리한 부분을 기록용으로 업로드 할 예정이다. 앞으로 어떤 방법으로 공부할지, 어떤 컨텐츠를 공부할지 등의 계획은 이 글의 아래부분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려고 한다. 앞으로 6개월동안 아래 내용대로 진행하고 그 이후에는 다시 계획을 세워야 할 것 같다. ▶ 스터디 ① 다큐 - EBS 자본주의(완) - KBS 돈의 힘(-ing) ② 책 .. 2022. 1. 26. 이전 1 2 다음